б
제목 일반 국제관계이론이란 무엇인가?
글쓴이 관리자 날짜 2023.02.20 16:49 조회 수 18

국제관계 이론은 국가와 국가 이외의 국제시스템 내 다른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로, 국제기구, 다국적 기업 및 시민사회 단체와 같은 비국가행위자를 포함합니다. 국제관계 이론의 목적은 국제시스템 내 행위자들의 행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정책 결정자가 국제적인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국제관계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적 접근법이 있으며, 그 중 주요한 것으로는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 및 포스트콜로니얼주의가 있습니다. 각각의 이론적 접근법은 국제시스템의 역학, 국가 간 갈등과 협력의 원인, 그리고 비국가주체들이 전 세계적인 거버넌스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구별된 관점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현실주의는 권력의 역할과 국제정치의 경쟁적 성격을 강조하고, 자유주의는 국제기구와 국가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구성주의는 아이디어, 규범 및 정체성이 국제관계의 형성에 미치는 역할에 초점을 맞추며, 마르크스주의는 국제정치에서 경제적 요인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여성주의와 포스트콜로니얼주의는 성별, 인종 및 식민주의가 전 세계적인 권력 동적을 어떻게 형성했는지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도전함으로써 국제시스템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도전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국제시스템에서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과 권력이 어떻게 도전 및 변형될 수 있는지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In english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s a field of study that examines the interactions between states and other actor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including non-state actors such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e aim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s to provide explanations for the behavior of actor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to help policy-makers develop strategies for dealing with global challenges.

 

There are several different theoretical approaches to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realism, liberalism, constructivism, Marxism, feminism, and postcolonialism. Each of these approaches offers a distinct perspective on the dynamics of the international system, the source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between states, and the role of non-state actors in global governance.

 

Realism, for example, emphasizes the role of power and the competitive na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while liberalism stresses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cooperation among states. Constructivism focuses on the role of ideas, norms, and identities in shaping international relations, while Marxism emphasizes the role of economic factors in international politics.

 

Feminist and postcolonial approaches to International Relations challenge traditional conceptions of the international system by highlighting the ways in which gender, race, and colonialism have shaped global power dynamics. These approache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how power oper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how it can be challenged and transformed.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국제관계이론이란 무엇인가? 관리자 2023.02.20 18
31 오픈소스 통계프로그램&언어 R과 R studio file 관리자 2019.09.18 802
30 국내외 정치외교학 KCI / SSCI 학술지 리스트 file 구본웅 2019.06.27 2385
29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 국제관계이론 전공서적 추천 file 구본웅 2019.06.27 880
28 국내 정치학 학술지 리스트 모음 file 구본웅 2018.12.25 470
27 국제정치 다양한 패러다임의 비교 구본웅 2018.11.17 1011
26 일본의 휴일 (20181105 기준) 구본웅 2018.11.06 190
25 2018년 9월 19일 '9월 남북정상회담 전문' 구본웅 2018.09.19 145
24 안보 개념은 언제부터 변화하기 시작했는가? (Book review about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5] secret 구본웅 2018.09.18 2
23 SPSS 무료 강의 - 통계교육원 이러닝 강좌 이용방법 file 구본웅 2018.09.14 1525
22 리샤오 중국 길림대 교수의 미중 무역전쟁 연설문 구본웅 2018.08.17 205
21 근현대 일본의 외교 (2) : 개국과 쇄국의 갈림길 구본웅 2018.06.28 296
20 근현대 일본의 외교 (1) : 근대 일본의 시작과 일본 외교 [1] 구본웅 2018.06.19 275
19 일본군 종군위안부가 세상에 어떻게 알려졌는가? (인용) 구본웅 2018.06.05 291
18 외환위기(IMF금융위기)의 원인과 과정 secret 구본웅 2018.05.23 1
17 얄타회담 전시외교 주요 내용 정리 구본웅 2018.05.11 481
16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 조지프 슘페터 (Joseph Schumpeter) 구본웅 2018.05.03 1578
15 한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2015.12.28) 검토 결과 보고서 file 구본웅 2018.04.16 299
14 일본에서의 연도 표기, 서기와 일본 황실 연호(명치/대정/소화/평성/영화) 구본웅 2018.04.16 33617
13 일본 고노담화 검증 결과보고서 (발표 : 2014.06.20) file 구본웅 2018.04.09 725
Login